본문 바로가기
정보*지식 공유

집중호우로 인한 월류현상과 피해(괴산댐 피해)

by 마이노리 2023. 7. 18.
반응형

 기록적인 폭우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국 곳곳에서 피해가 확산되고 있다. 특히 충북 괴산댐의 경우 월류현상까지 발생되며, 댐의 안정성과 위협과, 홍수피해로 하류지역의 주민 태피령, 정전사태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 오늘은 이와같은 큰 피해를 야기한 월류현상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1. 월류현상

월류란 제방이나 방파제, 호안 등에서 물이 넘쳐 흐르는 현상을 의미한다. 최근 발생한 충북 괴산댐의 넘침현상이 대표적인 월류현상임을 알 수 있습니다.

2. 월류현상의 원인과 영향

월류가 일어나는 가장 기본적인 원인은 댐에 유입되는 물의 양이 방수량보다 많아지면 발생하는 것으로 최근 중부지방에 지속적으로 내린 폭으로 괴산댐의 유입된 빗물의 양이 초당 2,700톤을 넘어서면서 만수위를 초과하여 물이 넘쳐 흐르는 현상이 발생하게 되었습니다.

월류가 발생하여 일으키는 영향으로는 먼저 댐의 안정성 위협과 하류지역의 홍수 피해 가능성이 있습니다. 실제 괴산댐 월류 발생시 하류 지역의 주민들에게 긴급대피령이 내려졌고, 댐을 관리하던 한수원의 경우 댐의 안정성에 대한 지속적인 점검에 들어갔습니다.

반응형

 

3. 월류의 예방과 대책

월류현상을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해서는 가장 기본적으로 댐의 수위와 유입량을 지속적으로 체크하고, 적절한 방수 조절을 하는 것이 기본이라고 생각됩니다. 또한 월류의 발생 가능성을 파악하여 신속하게 인근 지역 및 하류지역의 주민들에게 전파함으로써 주민들의 대피를 신속하게 할 수 있도록 해야하며, 사전에 대피소의 점검 및 위치의 공유를 진행해야 한다고 생각됩니다.

4. 월류의 대한 생각

월류는 물의 유입이 방류보다 많은 상황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앞으로의 강수량과 댐의 방수량으로 조절되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최근들어 우리나라역시 스콜성 집중호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에서 사전 일기예보를 통해 사전에 월류 또는 많은 양의 빗물의 유입을 대비해야 할 것이며, 이후 댐의 안전성 검사와 주민들의 안전을 위한 교육 등을 더욱 강화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이 됩니다. 폭우라는 자연현상을 통제할 수 없기에 최대한의 준비를 통한 피해를 막아야 한다고 생각이 됩니다. 앞으로도 비가 더 예보되어 있는데 더 큰 피해없이 장마가 지나가기를 바랍니다.

반응형